파이썬 머리박기(1) - 리스트(List), 집합(set), 튜플(tuple), 자료형 변화
변수에 한가지 데이터만 넣는게 아니라 여러 데이터 값을 포함하려 할때 리스트, 집합, 튜플을 사용한다.
1. 리스트(List)
- 리스트는 순서를 가지는 객체의 집합이다.
- index 함수를 사용하면 list에서 객체가 몇번째에 속하는지 확인을 가능하다
- append 함수를 사용하면 list에 추가로 객체를 추가할 수 있다.
- insert 함수를 사용하면 list에 원하는 위치에 객체를 추가할 수 있다.
- pop 함수는 뒤에서 부터 객체를 꺼낼 수 있다.
2.집합(set)
- 중복이 안되고 순서가 없는 객체의 모음이다.
- 집합들의 교집합을 찾고 싶은경우 $ , intersection 함수를 사용
- 집합들의 합집합을 찾고 싶은경우 | , union 함수를 사용
- 집합들의 차집합을 찾고 싶은경우 - , difference 함수를 사용
- add 함수를 사용하면 객체 추가가능
- remove를 사용하면 객체 빼기가능
3. 튜플(tuple)
- List와 다르게 목록의 변화가 안된다.
- 속도가 List 보다 빠르다
4. 자료형 변화
- 리스트, 세트, 튜플의 자료구조를 변화시킬수도 있다
5.퀴즈
마지막으로 퀴즈까지 풀어 보았는데 막상 내가 코드를 짜서 만드려고 하니 어떻게 짜야할지 모르겠고 잘 돌아가지도 않는다. 그리고 내 생각대로 만드니 비효율적으로 코드가 길어지는 느낌이 있다.
예를 들어서 한 리스트형 변수에 1~20까지 데이터 값을 넣으려고 할때 1,2,3, ... 20 까지 써버렸는데 range를 이용하면 쉽게 넣을 수 있는 거였다..